안녕하세요. 일생팁의 프린스화니입니다 :)
이번엔 windows defender 끄기 방법을 알려
드리는 정보성 포스팅을 진행해 보려고 하는데요.
윈도우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백신인
윈도우디펜더가 깔리게 되고 실시간 감시를 하게
되는데 이 프로그램 같은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의
안티스파이웨어이며, 컴퓨터에 문제를 일으키는
스파이웨어를 검색한 후 삭제를 하고 바이러스를
예방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어서 도움을 줍니다.
요즘은 해킹이나 악성코드가 침투하는 일이 많아
보안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개인정보가 유출될
우려가 있어 민감할 수 밖에 없는 상태일 텐데요.
그래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백신의 성능을 믿지
못하거나 확실한 대비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으로
유명하게 알려진 최적화 백신을 검색해 내려받고
계신 분들이 많은데 이럴 경우 보안 프로그램이
두 개 이상 실행되면 충돌이 생겨 오류가 발생할
수 있으며 불필요한 메모리 차지로 버벅거리거나
끊김 현상이 생겨 오히려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.
그러니 둘 중 하나는 종료시키는 게 좋은데 그런
의미에서 windows defender 끄기 방법을
알려드리려고 하니 참고하시면 괜찮을 것 같아요.
물론, 깔끔하게 지우고 싶은 분들도 있을 테지만
아쉽게도 기본적으로 설치된 프로그램이라 완전히
제거하는 건 어렵고 기능만 비활성화하면 문제될
일은 없으니 알려드린 대로 따라하면 되겠습니다.
우선 키보드에서 Windows+R키를 같이 누르면
실행창이 열릴 텐데 명령어를 입력하는 곳에다가
gpedit.msc를 적은 후 밑에 [확인]을 누르세요.
그러면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창이 나타날 텐데
좌측에 관리 템플릿 폴더를 열고 Windows 구성
요소를 추가로 열면 바이러스 백신을 찾을 수가
있으며 우측에 바이러스 백신 사용 안 함 항목을
더블클릭해서 실행시키면 관련 창이 뜰 것입니다.
이 정책 설정은 윈도우디펜더 백신을 끄기 위한
설정이 가능한 것이며, 더이상 실행되지 않거나
스파이웨어와 사용자의 동의 없이 설치가 진행된
소프트웨어가 있어도 검색하지 않게 변경할 수
있으니 [사용]에 체크 후 확인 버튼을 누르세요.
이제 windows defender 끄기 설정이 정상으로
적용되어 기능이 꺼지고 보안 센터로 들어가서
확인해보면 위협 서비스가 중지되었다면서 지금
다시 시작해서 사용할 수 있다고 안내를 합니다.
하지만 윈도우 홈 버전을 쓰고 계신 분들의 경우
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를 이용할 수 없는데 이럴
땐 실행을 열고 regedit를 입력한 후 확인하면
레지스트리가 열리고 LOCAL_MACHINE >
SOFTWARE > Policies > Microsoft >
Windows Defender로 진입하면 될 거예요.
그리고 우측 빈 곳에 우클릭해서 새로 만들기의
DWORD(32비트) 값(D)을 누른 다음 창이 열리면
값 데이터를 1로 설정하고 [확인]을 눌러 줍니다.
마지막으로 컴퓨터를 다시 재부팅하면 적용되어
중지시킬 수 있을 테니 동일하게 따라해 주세요.
이렇게 설명한 것처럼 완료하시면 이후 비활성화
상태가 되어 중지될 것이니 인터넷 검색을 통해
좀 더 검증된 백신을 찾아 설치하면 되겠습니다.
아무쪼록 이 내용을 보고 도움이 됐다면 밑에
공감 (♥)하트 또는 옆에 공유 부탁드리겠구요.
이 내용이 유익한 정보가 되셨기를 바랍니다.
이상으로 windows defender 끄기 방법을 알려
드린 정보성 포스팅 내용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.
댓글0